타우포 호수에서의 일정을 마치고 통가리로 국립공원을 향했다. 네비게이션에 목적지를 '샤또 통가리로 호텔'로 맞추고 출발할 때까지는 평화로웠다. 날씨도 더없이 좋았다.
뉴질랜드 운전시, 구글이 되는 곳에서는 구글 네비로, 그렇지 않은 곳에서는 유료 어플 네비를 사용했었다. 뉴질랜드는 인구밀도가 낮은 나라라 우리나라의 고속도로 같은 것이 없다. 고속도로라고 이름 붙여봐야 왕복 4차선이고, 대부분의 주 도로는 왕복 2차선 길이다. 터널도, 고가도로도, 직선 도로도 거의 없는, 옛길 그대로 포장만 한 듯한 도로이다. 그래서 운전에 시간은 많이 걸리지만, 나름 운치있기도 하고 지나는 차들이 많지 않아 크게 어려움은 없었다. 그런데, 아뿔사~ 미처 우리가 고려하지 않은 사항이 있었다. 위의 그림 지도를 보면, 타우포 호수를 빠져 나와서 통가리로 국립공원으로 가는 가장 가까운 길은 어마무시한 산길을 통과하는 길이었던 것이다.
타우포 호수를 빠져 나오면서 통가리로 쪽으로 길을 틀자, 비가 오기 시작했다. 산을 오르기 시작하면서, 폭우가 쏟아지기 시작하는데, 바로 앞도 보이지 않았다. 꼬불꼬불 오르막 길을 비상등을 켜고 시속 20km 정도로 달리는데, 옆은 갓길조차 없는 낭떨어지였다. 한낮인데도, 한밤처럼 주위가 깜깜해졌고, 가끔씩 마주오는 대형트럭은 우리차 옆을 스치듯이 지나갔다. 설상가상으로 도로에 물이 흐르기 시작해서, 차가 물에 떠 있는 듯 해서 브레이크도 잡을 수가 없었다. 온몸에 짜르르 전기가 흐르는 듯했다. 한 치만 핸들이 틀어져도 빗길에 미끌어져 낭떨어지로 떨어질 듯 했다. 그나마 오르막은 천천히 올라갈 수 있었는데, 내리막에서는 바퀴가 물위에 떠 있는 듯해서 브레이크를 잡을 때마다 머리털이 곧추서는 듯 했다. 코너에서도 최대한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미친듯이 오가는 와이퍼 사이를 주시하며, 낯선 타국 땅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상상을 떨쳐내며, 하이빔을 켜고 달려드는 맞은편 트럭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거대한 산에서 뿜어내는 음습한 기운에 휘둘리지 않으면서, 내려왔다. 내려오고 보니, 옆으로 편편한 도로가 보였다. 멀리 돌아도는 길이었지만, 마을 사이로 난 길이 있었던 것을 깨닫게 되자 다리에 힘이 풀렸다. 내려오자 마자 날이 개었다. 거짓말처럼.
1929년에 지어진 이 유서 깊은 호텔은 통가리로 국립공원 화산 폭발의 산 증인이다. 1953년 루아페후 산 대폭발 때 화염에 가려진 이 호텔의 사진이 자료사진으로 남아 있다. 지금은 통가리로 트래킹이나 겨울철 스키를 타려는 사람들이 묵는 호텔이다. 와카파파 빌리지 방문자 센터 근처에 있지만, 마을로부터 떨어져 황량한 화산지대에 우뚝 서 있다. 스키철에는 모르겠으나. 우리가 갔던 12월은 비시즌이어서 그런지 근처에 문을 연 식당도 없었다. 그야말로 아무 것도 없었다.
체크인 후 리셉션에 내일 '통가리로 알파인 트래킹을 하고 싶다. 차량 예약 등을 알고 싶다' 라고 했더니, 뜻밖의 대답을 듣게 되었다. 물론 나의 듣기능력이 형편없어서 제대로 이해했는지는 아직도 잘 모르겠다.
"내일은 날씨가 안좋아서 다니는 차량은 없다. 화산지대라 날씨가 안좋으면 위험해서 트래킹은 안된다"
"그래도 꼭 하고 싶어요.ㅠㅠ 그것을 위해 여기까지 왔어요. 개인이 차를 가져갈 수 있나요?"라고 했더니,
"안된다. 위험하다. 주차도 안된다. 다만, 개인 가이드를 고용해서 갈 수는 있다. 그가 차량 및 안전, 점심까지 준비한다"
" 얼마인가요?"
" 30만원이다"
"................"
이게 무슨 황당한 시슈에이션이란 말인가? 마른 하늘에 날벼락이.... 우리는 고민 끝에 조용히 물러났다. ㅠㅠ
그리고, 다음날 무작정 주차장까지 가보기로 한다.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작은 주차장이 있는데, 최대 4시간까지만 허용된다 하는데.... 어쩌지? 갓길에 무단 주차... 견인? 안되는 영어로 어떻게 차를 찾아오지? 통제하면 어떻게 하지? 머리가 복잡해진다.
▶ 마오리의 전설이 깃든 통가리로 국립 공원
원래 폴리네시아인 중 하나인 '마오리아레족'은 약 600~800년경(혹은 1300년 경)에 카누(canoe)를 타고 뉴질랜드(마오이언어로 아로테아로아)에 왔다. 북섬의 이스트 곶(East Cape)에 있는 왕가파라오아(Whangaparaoa)에 처음 상륙한 뒤 전역으로 범위를 넓혔다.
그 후 타우포 호수 근처에 '나티투하레도아 Ngati Tuwharetoa'라는 마오리 부족이 살았다. 어느날 이 부족의 제사장 응가토로이랑기(Ngatoroirangi)가 통가리 지역을 갔다가 엄청난 눈보라를 만나 죽음의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그는 그들의 신인 '하와이이키'에게 기도하였다. 그의 기도에 부응하여 '불'이 환태평양 조산대의 바다를 가로질러 건너왔고, 통가리의 화산에서 폭발했다. 그 열기로 제사장은 살게 되었고, 이후 통가리 일대는 신성한 땅이 되었다.
그 후 영국 이주민들이 들어오면서 이 땅은 백인들에게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 이에 1887년 부족장 '테헤우헤우투키노(Te Heuheu Tukino) 4세'가 통가리로의 땅을 국가(당시에는 영국 국왕)에 헌납했다. 그렇게 해서 이곳은 뉴질랜드 최초의 국립공원이 되었다. 이후 1990년 세계자연문화(화산지대) 유산에, 1993년 세계 문화유산(마오리 유적)에 등록되어 셰계 복합 문화유산이 되었다.
▶통가리로 국립공원을 일렬로 관통하는 세 개의 화산
1. 루아페후 산 Mt. Ruapehu( 2,797m )
![]() 멀리서 본 모습 |
![]() 정상 분화구의 모습 ( 출처 : 위키 백과) |
통가리 일대의 산들은 '타우포 화산대'에 속한다. 1993년 고대 마오리 신앙지인 루아페후산과 나우루호산을 포함하여 세계유산 복합 유산으로 등록되어있다.
'루아페후 산'에는 세 개의 봉우리가 있는데, 그 중 타후랑기 봉(2,797m)이 북섬의 최고봉이다. 정상에 지름 1.5km의 분화구가 있으며, 여름에도 눈이 쌓이는 만년설이 있다. 루아페후는 마오리어로 '폭발하는 구멍'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1953년 대폭발 때 150명의 사상자를 내었다. 최근에도 1995년 1996년, 2007년에 분화하였다.
2. 나우로호에 산 Mt. Ngauruhoe (2,291m)
![]() |
![]() 정상 분화구 모습( 출처 : 위키 백과) |
원뿔 형상의 '나우루호에'는 2500년전 큰 폭발로 형성된 젊은 화산이다. '나우루호헤'는 '달궈진 돌 던지기'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1975년부터 20세기 후반까지 45회 분화했고, 1977년 이후 안정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최근 영화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운명의 산(Mount Doom)'의 배경이 되었다고 해서 잘 알려져 있다.
3. 통가리로 산 Mt. Tongariro(1,978m)
![]() ( 출처 : 위키 백과) |
![]() 정상 분화구 모습( 출처 : 위키 백과) |
'통가리로 산'은 높은 봉우리는 없고, 분화구가 12개인 거대한 화산산괴로 이루어져 있다. 1839년 이후 1975년까지 70번 이상 분화하고 있으며, 최근 2012년에 분화하였다.
♣ 통가리로 알파인 크로싱 Tongariro Alpine Crossing
통가리로 알파인 크로싱은 총길이 19,4km, 6시간 20분 소요된다. 통가리로 국립공원에 있는 3개의 화산을 보며 걸을 수 있다. '망가테포포 주차장(해발 1,100m)'에서 시작할 경우, 마지막 서밋(1,900m)에서 오른쪽으로 '나우루호 산'을, 왼쪽에 '통가리 산'을 가로지르며 넘어가서 '에메랄드 호수'와 '블루호수'를 지나 '케테타이 주차장'으로 가는 길이다. 원래는 '통가리로 트래킹'이었는데, 트래킹이 어려워서 '고산'을 의미하는 '알파인'을 붙였다고 한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알파인'의 의미랑 근접하는 부분은 마지막 레드 크레이터를 지나 '에메랄드 호수'를 내려가는 길 정도만 날씨에 따라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나머지 구간은 아주 평탄한 걷기 길이다.
![]() |
![]() |
1100m 고지에 있는 망카 테포포 주차장이다. 20여대 정도 주차시킬 수 있는 작은 주차장인데, 하루 최대 4시간까지 주차할 수 있다고 쓰여있다. 성수기에는 관리인이 지키고 있는지 모르겠으나, 우리가 갔을 때에는 관리인이 없었다. 여기가지 오는 길은 낮은 관목들만 있는 망망대로인데, 마땅히 주차할 공간은 없었다. 갓길없이 길만 닦아놓았기 때문이다.
우리는 '망가테포포 주차장'에서 에머랄드 호수까지 갔다가 다시 원점회귀하는 트래킹을 했다. 에머랄드 호수 넘어 케테타이 주차장까지 갔다가 다시 이곳에 오는 교통편이 만만치 않았기 때문이다. 보통 많은 사람들은 타우포 호수 숙소에서 여행사 차를 타고 와서 트래킹 후 픽업 서비스로 돌아간다고 하는데, 샤또 호텔에서는 그 차량이 비수기(혹은 날씨)여서 다니지 않는다고 했었다. 여러모로 의심스러운 샤또 통가리로 호텔이다.
![]() |
![]() |
물이 흐르고 있어 화산지대만이 갖는 식생을 보여준다.
![]() 출처 : 다음 백과 (천재교육) |
화산 분출물 화산 활동으로 분출되는 화산 분출물에는 화산 가스(기체), 화산 쇄설물(고체), 용암(액체) 등이 있다. 화산 가스 화산 가스의 대부분은 수증기(70~90%)이며, 그 다음은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이고, 미량의 수소, 황화수소, 일산화탄소, 유황, 염소 등이 포함되어 있다. 화산 쇄설물 화산 폭발에 의한 충격이나 화산 가스의 침식 등으로 부서져서 방출된 크고 작은 암편으로, 주로 크기에 따라 나뉜다. 출처 : 다음 백과 (천재교육) |
![]() 영화 '반지의 제왕' <사진 출처 : 구글 > |
![]() |
여러모로 반지의 제왕이 생각나는 산이다.
사우스 크레이터를 올라와서 왼쪽 방향으로 오른다. 좁고 가파른 길이 계속되는데, 바람이 거칠게 불기 시작한다. 해발이 높아지면서 바람은 누구의 방해도 받지 않고 사납게 몰아친다. 한 발 잘못 디디면, 저 아래 구름 속 크레이터로 굴러 떨어질 것 같다. 빗방울이 바람에 날리기 시작한다.
가까스로 써밋에 올라왔다. 아마 '통가리로 산' 중턱 쯤인듯 한데, 이 써밋을 넘어서 아래로 조금 더 내려가야 '에메랄드 호수'가 있다. 그런데 바람과의 사투끝에 장렬하게 쓰러져 있는 안내판을 보니 의욕이 꺾인다. 바람도 거칠지만, 자갈길이 몹시 미끄럽다. 내려가는 길 양쪽은 거대한 크레이터가 입을 벌리고 있는데, 붙잡을 난간 같은 것은 아예 없다. 진행 방향 왼쪽에 어마무시한 '레드 크레이터'가 있는데, 바람은 자꾸 그쪽으로 내 몸을 몰아 붙인다. 급경사의 내리막길 앞에서 잠시 망연자실한다. 바로 코 앞에 '에메랄드 호수'가 있는데.... 아쉽다. 잠시 기다려본다.
아, 그래도 내려가는 사람들이 있다. 아마 그들은 내려가야 차를 탈 수 있는 것이겠지만, 왠지 나도 할 수 있을 것 같은 용기가 생긴다. 두 발에 잔뜩 힘을 주고 천천히 바람에 맞선다.
나의 용기가 가상했는지, 잠시 바람이 구름을 쫓아낸다. 그때 드러난 세 개의 호수, 가까운 곳에서부터 '에메랄드 1', '에메랄드 2', '블랙' 호수 라고 한다. 호수의 주 광물질이 무엇이냐에 따라 햇빛에 반사되어 조금씩 다른 색깔을 보여준다고 한다. 경이롭다.
해발 1900m에 펼쳐지는 에메랄드 빛 호수, 비록 구름에 쌓여 지옥의 입구같은 '레드 크레이터'는 제대로 보지 못했지만, 이 신비한 호수를 본 것만으로도 벅찼다. 사실 아름다운 에메랄드 빛이었지만, 이미 화산 분출물로 뒤덮힌 산과 거칠고 황폐한 풍광만으로 이루어진 길에서 내내 어두운 풍경을 마주하였기에 이 '에메랄드'빛은 독극물의 빛으로 보였다. 아름다운 독극물의 빛, '통가리로 트래킹'이 완성되는 순간이었다.
![]() |
약 3000년 전에 생긴 붉은 분화구. 암석에 산화철이 있어서 붉은 색을 보인다. |
'에메랄드 호수' 에서 더 전진하면 거대한 '블루 호수'가 나오고, 끝없이 긴 길을 따라가면 '케테타이 주차장'이 나온다. 거기까지 가야 '통가리로 알파인 크로싱'이 끝나는 것이지만, 우리는 여기에서 다시 '망가테포포 주차장'으로 돌아가기로 한다. 차량 때문이지만, 이 트래킹의 실질적인 부분은 '에메랄드 호수' 까지라고 생각되기에 미련없이 돌아선다. 그러나.... 다시 올라가는 저 길은... 한 눈 팔지 않고 천천히 땅 바닥만 보고 두발을 굳건하게 버티면서 걷는 수밖에 없다.
▶ 그래도 피어나는 꽃
▶ 관광 안내소
'해외여행 > '18 뉴질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이헤케 섬(2018.12.5. 수)- 빈야드 워킹 트레일 (0) | 2020.10.30 |
---|---|
와이토모 동굴(2018.12.4) (0) | 2020.10.30 |
로토루아(2018.12.1~2) - 와이오타푸, 후카폭포와 후카제트, 타우포 호수 (0) | 2020.10.18 |
크라이스트처치(2018.11.29~30) (0) | 2020.10.18 |
테카포 호수( Lake Tekapo 2018.11.29~30) (0) | 2020.10.17 |